WLFI 도널드 트럼프와 함께 하는 코인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WLFI" 코인은 World Liberty Financial 프로젝트와 관련된 토큰으로, 도널드 트럼프(Donald J. Trump)와 그의 가족이 연관된 디파이(DeFi)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2025년 3월 4일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WLFI 코인 기본 정보

  • 이름: World Liberty Financial (WLFI)
  • 네트워크: 주로 솔라나(Solana)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일부 자료에서는 자체 네트워크로의 확장 가능성도 언급됨.
  • 발행 목적: WLFI는 World Liberty Financial 플랫폼 내에서 거버넌스 토큰으로 사용됩니다. 즉, 토큰 보유자가 플랫폼의 의사결정(제안 검토, 투표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합니다.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worldlibertyfinancial.com/
  • 토큰 특징: 현재 WLFI는 비양도성(non-transferable) 토큰으로, 발행 후 일정 기간 동안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매매할 수 없습니다. 이는 규제 준수와 초기 안정성을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주요 특징

  1. 토큰 발행 및 판매:
    • 총 공급량: 최대 1000억 개(100 billion WLFI)로 설정.
    • 초기 판매: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진행된 프리세일에서 약 20%가 판매되었으며, 추가 5%가 $0.05 가격으로 판매 중(2025년 1월 기준).
    • 현재까지 약 3억 달러 이상 모금, 완전 희석 가치(FDV)는 약 50억 달러로 추정.
  2. 소유 구조:
    • 트럼프 가족 및 내부 관계자가 약 70%의 토큰을 보유하며, 나머지 30%가 공개 판매로 배포.
    • 이는 일반적인 디파이 프로젝트보다 내부자 비율이 높아 논란이 있음.
  3. 유틸리티:
    • WLFI는 투자 수익을 제공하는 토큰이 아니라, 플랫폼 운영에 대한 투표권을 부여하는 거버넌스 전용 토큰.
    • 현재 구체적인 디파이 플랫폼 기능(예: 대출, 스테이킹 등)은 명확히 공개되지 않음.

현재 상태 (2025년 3월 4일 기준)

  • 가격: WLFI는 아직 주요 거래소(Binance, Coinbase 등)에 상장되지 않았으며, 공식 웹사이트를 통한 프리세일로만 구매 가능. 일부 소규모 거래소에서 유사 토큰(WLFI 변종)이 거래되고 있지만, 이는 공식 WLFI와 다를 수 있음.
    • 예: CoinMarketCap에 따르면 유사 WLFI 토큰(wlfi.club)의 가격은 $0.000000000001509 USD (24시간 거래량 $4,528).
  • 시장 반응: 트럼프의 정치적 영향력과 브랜드 덕분에 초기 관심을 끌었으나, 투명성 부족과 비양도성 문제로 투자자 신뢰가 엇갈림.
  • 최신 동향: X 게시물 및 웹 자료에 따르면, WLFI는 2025년 2월 이후 자산 포트폴리오를 확장 중(예: ETH, MOVE 토큰 매수)이며, 디파이 생태계 구축 의지를 보이고 있음.

장점과 논란

  • 장점:
    • 트럼프 브랜드로 대중적 인지도와 투자자 유입 가능성.
    • 솔라나 기반으로 빠르고 저렴한 트랜잭션 처리 가능.
  • 논란:
    • 내부자 중심의 토큰 분배(70%)로 디파이의 탈중앙화 원칙에 위배된다는 비판.
    • 플랫폼의 구체적인 계획과 로드맵 부족으로 신뢰성 논란.
    • 비양도성으로 인해 유동성 없음, 투자자 출구 전략 부재.

추가 정보

  • 구매 방법: 공식 사이트에서 KYC 인증 후 지원되는 암호화폐(ETH, SOL 등)로 구매 가능. MetaMask, Ledger 등 지갑 연동 지원.
  • 위험성: 비양도성, 불확실한 상장 일정, 규제 리스크 등으로 고위험 투자로 평가됨.

백서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정리했습니다.

1. 미국 달러 기반 디파이(DeFi)와 트럼프 브랜드 활용

  • 내용: WLF는 도널드 J. 트럼프의 비전을 기반으로 미국 달러의 글로벌 지배력을 유지하면서 디파이를 대중화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USD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며, 트럼프 브랜드를 활용해 Web2 사용자를 Web3로 전환시키려 합니다.
  • 중요성: 미국 중심의 디파이 플랫폼으로 차별화하고, 트럼프의 인지도를 통해 대중적 접근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

2. $WLFI 토큰의 거버넌스 역할과 비양도성

  • 내용: $WLFI는 WLF 프로토콜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보유자는 프로토콜 업그레이드와 전략적 결정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토큰은 경제적 권리(수익 배분 등)를 제공하지 않으며, 무기한 비양도성(non-transferable)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중요성: 일반적인 디파이 토큰과 달리 거버넌스에만 초점을 맞춘 독특한 설계로, 유동성 부재와 규제 준수를 우선시함.

3. WLF 프로토콜과 Aave V3 통합 계획

  • 내용: WLF 프로토콜은 제3자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스테이블코인 지갑, 유동성 풀 등)에 대한 정보와 접근을 제공하며, 현재 Aave V3 인스턴스 도입을 제안 중입니다. 이는 AaveDAO와 WLF 거버넌스 플랫폼의 승인을 필요로 합니다.
  • 중요성: 기존 검증된 디파이 인프라(Aave)를 활용해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기술적 기반.

4. 토큰 및 수익 분배 구조

  • 내용: 총 1000억 개의 $WLFI 토큰 중 35%는 토큰 세일, 32.5%는 커뮤니티 성장, 30%는 초기 서포터, 2.5%는 팀 및 고문에게 할당됩니다. 수익의 75%는 트럼프 관련 DT Marks DEFI LLC와 초기 서포터에게, 나머지는 운영비와 예비금으로 사용됩니다.
  • 중요성: 내부자 중심의 분배와 수익 구조로 인해 탈중앙화 원칙과 상충될 수 있으며, 논란의 여지가 있음.

5. 법적 준수와 미국 기반 운영

  • 내용: WLF는 미국 델라웨어주 비주식 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WLFI는 미국 내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미국인은 구매 불가(해외만 가능)하며, KYC와 인증 절차를 통해 규제 준수를 보장합니다.
  • 중요성: 미국을 디파이의 중심지로 삼고자 하며, 법적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신중한 접근을 보여줌.

그 외

Supporting Team 정보입니다. 정말 대단한 인물이 많습니다.

 

Inspired by the vision of Donald J. Trump, the team supporting the WLF commitment to reshape the financial landscape includes:

 

Donald J. Trump – Chief Crypto Advocate Eric Trump - Web3 Ambassador
Donald Trump Jr. - Web3 Ambassador Barron Trump - Web3 Ambassador

Zak Folkman - Co-Founder
Chase Herro - Co-Founder
Steven Witkoff – Co-Founder
Zach Witkoff - Co-Founder
Alex Witkoff - Co-Founder
Rich Teo – Stablecoin & Payment Lead Corey Caplan – Head of Technical Strategy Octavian Lojnita - Blockchain Lead Bogdan Purnavel – Lead Developer

Alex Golubitsky - Legal Counsel

Other Advisors:

Luke Pearson – Polychain Capital Sandy Peng – Scroll
Ryan Fang – Tomo Wallet
Ogle – Glue

Rafael Yakobi - The Crypto Lawyers
Matt Morgan, Mixie Studios
Tom DiFiore - Ionic Digital
Alexei Dubov - Web3 Antivirus & PixelPlex

종합

WLF는 트럼프의 상징성과 미국 달러 강화를 목표로 한 디파이 플랫폼으로, $WLFI 토큰을 통해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구현하지만, 비양도성과 내부자 중심 구조로 전통적 디파이와 차별화됩니다. Aave와의 통합으로 기술적 신뢰를 확보하려 하나, 규제와 투명성 문제는 여전히 주요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 Recent posts